부산의 북구와 금정구, 양산시 동면과 접해있는 산으로 부산의 제일 높은 산이며 부산을 대표하는 산이다. 동래산성(금정산성)과 범어사 그리고 산성 막걸리가 유명하다. 오늘은 가깝게 오래 살았으면서도 오른 적 없는 금정산 고당봉을 올라볼 예정이다. 등산을 많이 안 한 관계로 제일 쉬운 북문 쪽을 공략하기로 했다. 마음을 다잡고 범어사를 향한다.

범어사 일주문을 지나 왼쪽 방향으로 올라오면 여러 개의 주차장이 있다. 그중에 제일 위쪽 관음전 에서 나오는 문옆에 차를 세웠다. 날씨가 너무 좋다~

주차한 곳 바로 위로 돌길이 시작된다. 조금 걷다 보면 원효암 가는 길과 함께 휴식처가 보인다. 우린 고당봉을 목표로 오른편 길을 향한다.



40분 정도 돌길을 오른다. 중간중간에 쉬는 데크가 있다.

계속되는 돌길이 힘들 것 같지만 나처럼 등산 초보도 그렇게 힘들진 않다. 돌계단 길이 끝나면 이런 평탄한 길이 나타난다. 그럼 산성 북문 초입이라고 보면 된다.

등산 1시간 만에 보게 된 산성 북문이다.

저 멀리 고당봉이 보인다. 생각만큼 가까운 것 같지가 않아 걱정이다. 40분 정도만 걸으면 된다고 하니 힘을 내 본다.

북문을 지나 오른편으로 돌아 올라가는 길에 있다. 센터를 중심으로 뒤쪽엔 화장실 앞쪽에는 마시는 샘물이 있고 옆으로는 사람들이 앉아 쉴 수 있는 의자와 마루가 마련되어 있다. 고당봉 들렀다 내려오는 길 이곳에 앉아 점심을 먹으며 쉬고 왔다. 곳곳에 등산객들을 배려한 마음이 엿보였다.

범어사에서 올라오는 길은 자연적인 너덜 돌을 이용해 좀 큰 계단을 만들어 놓았다면 북문 지나 오르는 길들은 조금 더 오래되고 작은 돌길의 아기자기 함이 엿보였다. 이 길을 걷다 보면 고당봉과 금샘의 갈림길이 나온다. 금샘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 위쪽을 향한다.

돌계단이 끝나고 데크가 시작되면 거의 고당봉 근처에 온 거라고 보면 된다.

고당봉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사당으로 범어사와 금정산을 지키는 산신 할머니인 고모 영신을 모신 곳이라고 한다. 해운대 장산의 마고당과 같은 의미인 것 같다. 안쪽 사당으로 들어가니 올린 음식은 가져가란 팻말이 있는 걸로 봐서 많은 분들이 정성을 들이는 곳인 것 같다. 물 한병 올려두고 절을 드리며 모두의 안녕을 빌어본다.

올라서기에도 아찔한 저쪽 끝에 앉아있는 부부가 놀라울 뿐이다. 강심장 최고다!!



드디어 고당봉이다. 사진 찍으려 올라서니 많이 아찔한데 사람들은 데크를 벗어난 곳에서 많이 쉬고 있었다. 나만 무서워하는 것 같아 조금 서글펐다.





고당봉이 금정산에서 제일 높은 곳이라는 의미가 마음에 와닿는 장면이다. 부산의 곳곳이 눈에 들어온다. 처음 본 부산의 정경에 환성을 올렸다. 왜 산을 오르는지 알 것 같다. 다음엔 눈 덮인 고당봉을 목표로 해야겠다. 2시간 정도의 고당봉 산행은 나도 맘먹으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준 기회이며 앞으로는 미루지만 말고 도전해 보리라는 다짐의 산행이기도 했다.

내려오는 길 범어사에 들러 감사의 삼배를 올리며 오늘의 산행을 마친다.